티스토리 뷰

박쥐로 인한 바이러스가 많아 사람들은 이럴꺼면 박쥐를 박멸해야 하는거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고 있습니다. 그렇다면 박쥐가 가지고 있는 바이러스는 얼만큼 안좋으며, 왜 유달리 박쥐에게 인간에 해로운 바이러스가 많이 나오는걸까요? 그 이유에 대해 이번글에서 다뤄보려고 하니 득과실에 대해 여러분도 함께 알아보시죠.

 

박쥐 몸 속 바이러스가 치명적인 이유

 

1️⃣ 박쥐의 독특한 면역 시스템

 

 

박쥐는 다른 포유류에 비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이 매우 특이합니다. 박쥐는 비행을 위해 높은 대사율을 유지해야 하는데, 이 과정에서 몸 안에서 많은 활성산소가 발생합니다. 이 활성산소에 대응하기 위해 박쥐는 면역 반응을 억제하는 메커니즘을 발전시켰습니다.

그 결과, 박쥐 몸 안에서는 바이러스가 죽지 않고 저독성 상태로 장기 공존할 수 있습니다. 박쥐에게는 큰 피해를 주지 않지만, 박쥐에서 다른 종으로 넘어가면 억제되던 바이러스가 갑자기 폭발적으로 증식해 심각한 질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

 

2️⃣ 다양한 바이러스를 동시에 보유

 

박쥐 몸 속 바이러스가 치명적인 이유

 

박쥐는 코로나바이러스(SARS, MERS, COVID-19), 에볼라, 마버그 바이러스, 니파 바이러스, 라싸열 바이러스 등 다양한 고위험성 바이러스의 ‘자연 숙주’로 알려져 있습니다.
여러 바이러스를 한 몸에 가지고 있어서, 돌연변이가 일어나거나 다른 바이러스와 재조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
 

3️⃣ 넓은 이동성과 집단생활

박쥐는 밤에  수백 km 이동하며 과일이나 곤충을 먹고, 동굴이나 나무에 수천수만 마리가 모여 집단 생활을 합니다.이렇게 큰 군집과 이동성은 바이러스가 박쥐 개체군 내에서 널리 퍼지고, 다른 동물과 접촉할 기회를 제공합니다.

 

박쥐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넘어오는 이유

 

박쥐 자체는 사람과 잘 접촉하지 않지만,박쥐가 먹다 남긴 과일이나 수액을 인간이 먹거나

박쥐 배설물이 가축(돼지 등)에 오염되면중간 숙주를 거쳐 사람이 감염될 수 있습니다.

 

인수공통감염병 대부분이 이런 ‘박쥐 → 중간숙주 → 인간’ 경로를 통해 일어납니다.

 

박쥐를 무조건 해로운 동물로 보면 안 되는 이유

 

박쥐 몸 속 바이러스가 치명적인 이유

 

중요한 점은 박쥐가 바이러스를 퍼뜨린다고 해서 박쥐 자체가 해롭다고 볼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. 박쥐는 숲 생태계에서 해충을 잡아먹거나, 꽃가루를 퍼뜨리고, 씨앗을 퍼뜨리는 등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문제는 인간이 박쥐 서식지를 파괴하거나, 야생동물을 무분별하게 먹거나 거래하면서 접촉이 늘어난 것이 핵심 원인입니다.

 

박쥐 몸 속 바이러스가 치명적인 이유

 

정리

 

  1. 박쥐는 독특한 면역 시스템 덕분에 바이러스를 보유한 채 건강하게 살 수 있다.
  2. 하지만 이 바이러스가 다른 종으로 넘어가면 치명적일 수 있다.
  3. 박쥐 서식지 파괴, 야생동물 거래, 기후 변화 등이 인수공통감염병 위험을 키운다.